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부동산 현재 현상

by 천수세상 2021. 1. 26.

20.12.2일 작성한 글입니다.

[매일경제]30대, 아파트 `패닉바잉` 서울 넘어 경기로

 

30대, 아파트 `패닉바잉` 서울 넘어 경기로

작년 경기 아파트 매수 40대가 가장 많았지만 일자리 많은 경기남부 지역 수원 용인 성남 안양 광명 30대가 올들어 매수 1위로

www.mk.co.kr

최근에 부동산 관련 책을 하나 읽고 있는데,

몇몇의 지인과 대화를 나누고 이것저것 퍼즐이 맞춰져

현 상황이 이해가 되고 있다.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무주택자이지만

과거에 투자를 못한 거에 대한 후회도,

현상황에 대한 원망도 없다.

다만, 내년쯤 사려고 했는데....그 계획을 한참 미뤄야 할 듯 하고

내년 상황을 예측하기가 어려워 어떤 변수가 생길지 모른다는

답답함은 조금 생긴 상태이다.

간략히 기록하자면.

1. 오랜기간의 상승으로 인하여, 집값 상승에 대한 확신.

2. 주변에서 부동산으로 돈을 못 번 사람을 찾기 힘듬

(주로 크게 번 사람보다는 집을 보유해서 떨어진 사람은 찾아보기 힘듬)

3. 크게 오른 사람은, 어떻게든 벌고 싶으나 부동산으로 못하니 주식이나 기타 자산으로 눈을 돌림, 하지만 두려움이 있어 막 덤비지는 못함

4. 최근 전세 만기가 된 지인들이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지역을 낮춰 이동

5. 호가 대비 낮춰서 내놔도 팔리지 않음

현상1

* 호가 대비 낮은 가격에도 거래가 되지 않음(극단적인 예시로 설명)

- 12억 호가의 집을 11억에 내놓음

- 매수자는 갭투자자여야 가능 (전세 8억 시세, 갭 3억 가능)

- 갭투자자는 실거주 안함

- 전 세입자는 5억 전세로 살고 있었음

- 전 세입자가 11억에 살수는 없음(갭이 6억이므로)

- 전 세입자 계약청구갱신권 쓰면 못 내보냄

- 거래 불가

대략 이런 상황인듯 하다.

갭투자자는 막혀있는 상황이니, 결국 전세 공급이 부족해

전세가 폭등하고 있는 건가.

매매가는 매도는 하고 싶으나, 거래가 안되니 그냥 그렇게 횡보하고 있다가

30대 매수세 들어와서 다시 올라가는 건가.

현상2

* 30대 영끌 매수.

통상적으로 30대 직장인이 40대, 50대 대비해서 자금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투자 경험도.

자금과 투자경험이 부족한 30대가 지금 놓치면 큰일난다 라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매수를 한다?

흠. 이건 어디서 많이 보던 단계이다.

주식에서는 이러한 일이 비일비재하니..

자금과 투자 경험이 어느정도 대비가 된 분들은

위험이 닥치면 시간과 자금으로 버텨 극복할 수 있지만,

30대는 아무래도 탈락할 확률이 높다.

MDD(max draw down) 최대 낙폭.

시간 조정과 가격 조정

주식용어이지만 결국, 단기 하락과 장시간의 조정을 버텨내야만 그 뒤에 열매를 맛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중요한 건 역시, 싸게 사는 것이다.

"지금이 가장 싸다" 라는 분위기 이지만,

세상에 영원히 상승만 한 경우는 없지 않나...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IRP 미래에셋 자동이체 설정  (0) 2021.01.26
IRP 개인형 퇴직연금  (0) 2021.01.26
삼성생명 IRP / 미래에셋IRP  (0) 2021.01.26
미래에셋 IRP 납입 문자  (0) 2021.01.26
매달 리밸런싱 1회 투자 시행  (0) 2021.01.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