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우리금융 지분 인수전…최종 7곳 압축
2021년 11월 19일 A14면
정부가 보유한 우리금융지주 지분 인수전이 `7파전` 양상이 될 전망이다. 두나무 등 핀테크 업체와 건설사, 금융사까지 총 9곳이 뛰어들었고, KT는 인수를 철회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이 중 최소 입찰 조건인 예정 가격 이상을 써낸 7개 투자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한 뒤 22일 최종 낙찰자를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산업계가 지분 인수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면서 우리금융의 민영화도 속전속결로 이뤄질 전망이다.
18일 금융위원회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잔여 지분(10%) 인수를 희망하는 9개 투자자로부터 입찰제안서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 중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가 사전에 의결한 예정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적어낸 인수 희망사는 총 7곳이다. 예정 가격은 공자위가 주가 수준, 공적자금 회수 규모 등을 고려해 결정하는 최소 입찰 금액을 말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7개 투자자가 제출한 인수 희망 물량을 종합하면 최대 매각 물량 대비 1.73배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 발표된 `우리금융지주 잔여 지분 매각 공고`에 따라 지난달 8일까지 총 18개 투자자가 투자의향서(LOI)를 냈고, 이 중 절반이 실제 입찰에 나선 것이다. 정부는 투자자들이 제출한 입찰 가격에 `비가격 요소` 등을 고려해 22일 최종 낙찰자를 발표한다.
이번 지분 인수전에는 두나무와 하림, 호반건설, 한국투자증권, KTB자산운용, ST인터내셔널(옛 삼탄), 우리사주조합 등이 제안서를 냈다. 사모펀드(PEF) 중에서는 유진PE,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등이 뛰어들었다. KT는 LOI를 냈으나 정식 입찰제안서를 내지 않았다.
이번 매각전에 참전한 기업들은 우리금융지주의 투자 매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금리 인상 국면에서 우리금융이 4대 금융지주 중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우리금융은 다른 금융지주에 비해 비은행 계열사의 이익 기여도가 낮은 편이다. 은행 비중이 높은 것이 오히려 금리 인상기에 장점으로 부각된다는 뜻이다.
우리금융 지분을 인수해 금융업에 직간접적으로 진출하기를 원하는 기업들도 있다. 입찰 과정을 완주하는 대기업·중견기업 상당수의 속내는 이렇다.
우리금융과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해 참여한 곳도 있다.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 중인 두나무가 대표적이다. 두나무의 현금성 자산은 1조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두나무가 우리금융 지분 1% 안팎을 취득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우리금융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투자증권은 4% 추가 인수를 노린다. 이번에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면 사외이사 1명을 추가로 추천할 수 있게 된다. 과점주주 체제에서 한국투자증권이 이사 2명을 확보한다면 우리금융 경영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강우석 기자 / 문일호 기자 / 김유신 기자]
우리금융지주는 우리 사주로 보유 중이라 매우 오래전부터 매집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특별히 이유가 있다기보다 상황이 그렇게 된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제가 보유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기적으로는 두배 이상 올랐지만, 이전으로 돌아가면 지금은 아직 최고가가 아닌 상태인거죠
코로나 시대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증권사, 은행 등의 이윤이 극대화되면서 주가 상승도 동반이 되었습니다. 과연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최근에 일부 물량을 팔까 생각했지만, 사경인 회계사의 책을 보고 나서 간단히 가치평가를 해 본 결과 아직 상승여력이 많이 남아있어서 그대로 보유하기로 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skyonsei/222568024411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 사경인
주식투자는 오래 했지만, 재무제표를 제대로 볼 줄 모릅니다. 그냥 빨간색(적자) 관련된 숫자가 많으면 그 ...
blog.naver.com
단기적으로 많이 상승했다고 느껴 일부를 정리하고자 했는데 상승여력이 무려 200% 이상 남은 것으로 나옵니다. 이 가치판단이 맞을지 아직은 의심스럽지만, 다른 마땅한 방법도 없기에 계속 지켜보면서 맞는지 확인해 볼 생각입니다. 어쨌든 대형주에서는 어느 정도 제가 생각하는 부분과 일치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오고 있어 믿고 투자할 계획입니다.
추가로 이러한 지분 인수 이슈가 있는데, 과연 지분 인수전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 개인적으로 기록을 남기는 것입니다.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재테크 > 우리금융지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금융 지배구조 변화 생기나 (0) | 2021.11.24 |
---|---|
우리금융 완전 민영화의 역사 (년도별), 유안타증권 인수 후보 (0) | 2021.11.23 |
우리금융 민영화 - 유진PE, 두나무 (0) | 2021.11.22 |
댓글